3.21.100.34
3.21.100.34
close menu
KCI 등재
중년여성을 위한 슬립테크 디바이스 방향성 연구: 디바이스 유형과 기능 선호 요소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irection of Sleep-Tech Devices for Middle-Aaged Women: Focusing on Preferences for Device Types and Function
박소현 ( Sohyun Park ) , 선섭희 ( Suphee Sun )
DOI 10.37254/ids.2020.12.54.05.51
UCI I410-ECN-0102-2022-600-000407290

연구배경 과거에는 잠에 대한 인식의 부족으로 수면에 부정적이 었던 반면에 최근에는 웰빙(Wellness), 워라밸(Work-life balance)과 같은 단어가 등장할 만큼 건강과 삶의 질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수면의 중요성이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중년여성의 경우 갱년기, 폐경을 겪으면서 호르몬의 변화로 수면장애에 노출되기 쉬워 남성보다 수면장애 발병률이 높으며, 다른 연령층보다 수면장애를 겪을 가능성이 크다. 이에 본 연구는 신체적인 변화 이외에 수면장애 요인에 상대적으로 많이 노출된 경제활동을 하는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수면 디바이스의 선호하는 기능적 요소를 도출하여 수면디바이스 개발을 진행할 시 활용할 수 있도록 디자인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문헌연구를 통해 슬립테크(sleep tech)를 활용한 제품의 사례를 조사하여 주요제품의 유형과 기능에 대해 파악하였다. 수집된 제품들의 유형을 분류하고 장단점을 분석하여 제품의 주기능과 보조 기능 요소를 도출하였다. 도출한 요소를 토대로 중년여성 중 수면 관련 제품 잠재적 사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선호하는 유형 및 기능 요소를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수면 디바이스 디자인 방향을 제시하였다. 별도의 착용 장치가 없어 접근성이 높은 비부착형을 선호하였으며 수면 데이터 시각적 자료, 타 IoT 기기와의 연동, 신뢰할 수 있는 수면의 데이터 측정값, 심리적 이완 및 진정시킬 수 있는 향을 선호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각각 ‘접근성’ ‘가시성’ ‘연계성’ ‘정확성’ ‘안정성’ 등 5가지의 수면 디바이스 디자인을 위한 키워드를 도출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질 좋은 수면을 소비하려는 심리가 증가하는 추세인 가운데, 수면장애에 노출되기 쉬운 중년여성들을 대상으로 수면 기능에 대한 선호 요소를 도출하고 그에 따른 수면 디바이스의 방향을 도출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향후 수면 디바이스 디자인 개발에 있어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요소가 디자인 가이드라인으로 활용될 것을 기대한다.

Background The importance of sleep is taking central stage as our interest in health and quality of life has been increasing. However Mid-aged women seem to suffer from sleep disorder more than others due to hormonal changes by menopause. The research, targeting on mid-aged women exposed to sleep disorder by active economic activities, tries to obtain prefer functional factors of the sleep-tech device and suggest direction of design to be used in development of the device. Methods We investigated examples of products applying the sleep tech through literature review, understood types and functions of major products, classified types and analyzed pros and cons, and elicited main and sub functions of it. Based on it, by targeting on potential users of sleep-related products, we implemented survey and identified their prefer types and functions. Results Based on the survey, we suggested directions for design of the sleeping device. It was revealed that the participants preferred easy-to-approach type of devices which can provide visual information, have reliable measured values, can connect with other IoT devices, and contain relaxing scents. Finally, we came up with 5 keywords for the design of the device: accessibility, visibility, connectivity, accuracy, and stability. Conclusion In a time people seek to have high-quality sleep, the research might be significantly meaningful to show preference factors of sleep functions of mid-aged women easy to be suffered from sleeping disorder and to elicit direction of the sleeping device. We expect that the research will be used as a guideline of the design of the sleeping device.

1. 서론
2. 이론적 고찰
3. 설문조사
4.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