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白村江 이후 日本의 佛敎寺院에 보이는 百済 遺民의 影響 KCI 등재

백촌강 이후 일본의 불교사원에 보이는 백제 유민의 영향

  • 언어JPN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7866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9,600원
東洋美術史學 (동양미술사학)
동양미술사학회 (Association of Asian Art History)
초록

663년 白村江戰鬪이후 일본열도로 건너간 백제 유민은 일본 열도의 율령 국가 형성에 큰 역할을 하였다. 정부에 중용된 자도 많지만 한편에서는 지방에 정착한 사람들도 많이 존재했다. 그 구체적인 예로서 문헌 기록에 남는 近江国(滋賀県) 蒲生郡의 유적들을 들 수 있다. 이 지역에 남겨진 「鬼室集斯墓碑」나 石塔寺三層石塔은 동 시대의 것은 아니지만 백제 유민의 기억에 관계된 기념물이라 할 수 있다. 동 시대의 유적으로서 사원유적이 중요한 중요한 의미가 있으며 石塔寺의 근처에 위치하는 綺田[카바타]廢寺가 백제 유민과 관계된 사원이라고 추측하였다. 이사원의 創建瓦인 「湖東式」軒瓦는 일본열도에서는 특이한 문양을 갖고 있고, 새롭게 한반도에서 가져온 것이라고 추정되지만 그 기점이 되는 사원이 近江[오오미]国愛知[에치]郡의 軽野塔ノ塚[가루노토오노츠카]廢寺이며, 愛知郡의 유력자인 依智秦氏[에치하타우지]로 추측되고 있다. 依智秦氏는 白村江에서 활약한 朴市田来津[에치노타쿠츠]를 배출했으며 백제 유민과도 접점을 가지고 있다. 이 依智秦氏의 寺院과 綺田廢寺가 기와에서 관계가 인정되는 것은, 5세기까지 한반도에서 일본열도에 도래한 사람들 이 7세기에 새로운 도래인의 정착과정에서 큰 역할을 하고 있었다고 생각된다. 말하자면 오래된 도래인이 기술이나 지식을 갱신하기 위해 새로운 도래인의 수용에 주력했다고 추정할 수 있다. 白村江에 참전한 일본 열도의 호족들이 귀국 후에 사원조영을 했다는 이야기는 『日本霊異記』에서 볼 수 있다. 특히 유명한 것이 備後国三谷郡(広島県)의 大領이 백제계 승려인 禅師弘済와 함께 귀국하여 三谷寺[미타니데라]를 건설한 이야기이며, 그 무대라고 생각되는 三谷寺의 수막새와 塼積基壇이 그 증거라고 생각된다. 비슷한 사례는 각지에 더 있었다고 생각되지만 문헌에 의해 판명된 사례로는 但馬国朝来郡(兵庫県)의 神直이 대 신라 전쟁에 종군한 것을 기록하고 있는 것에 대해, 현지의 法興寺廢寺에서는 역시 한반도의 특색을 갖는 수막새가 출토되고 있는 것을 들 수 있다. 이 사례들은 결코 특수한 예가 아니고, 문헌에 나타나지 않은 비슷한 사례는 더 많이 존재했다고 생각된다. 왜냐하면 7세기 후엽은 일본 열도에서 사원 조영이 급속히 진행된 시기이고, 새로운 기술자의 증대가 전망되기 때문이며, 중앙의 大寺와는 다른 기와를 창건 시에 이용한 사원의 대부분은 이런 새로 도래한 승려와 기술자를 받아들인 것으로 상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상에서 백제 멸망에 의한 새로운 도래인의 활동이 중앙 정부 이외에도 인정되며, 일본 열도의 문명화에 큰 역할을 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663年白村江の戰鬪ののち日本列島に渡った百済遺民は、日本列島における律令国家の形成にとって大きな役割を果たした。政府に重用された者も多いが、一方で地方に定着した人々も多く存在した。その具体的な例として、文献記録に残る近江国(滋賀県)の蒲生郡の遺跡をとりあげる。この地域に残る「鬼室集斯墓碑」や石塔寺三層石塔は、同時代のものではないが、百済遺民の記憶に関係するモニュメントであると位置付けた。同時代の遺跡として寺院跡が重要な位置を占めており、石塔寺の近くに位置する綺田廃寺が百済遺民に関係する寺院であると推測した。この寺院の創建瓦である「湖東式」軒瓦は、日本列島の中では特異な文様をもつものであり、新たに韓半島からもたらされたと推測されるが、その起点となる寺院が近江国愛知郡の軽野塔ノ塚廃寺であり、愛知郡の有力者である依智秦氏によると推測されている。依智秦氏は白村江で活躍した朴市田来津を輩出しており、百済遺民とも接点をもっている。この依智秦氏の寺院と綺田廃寺とが瓦の上で関係が認められることは、5世紀までに韓半島から日本列島に渡来した人々が、7世紀における新たな渡来人の定着過程で大きな役割を果たしていることを表していると考える。いわば古い渡来人が、技術や知識を更新するために新たな渡来人の受容に力を注いだものと推測できる。白村江に参戦した日本列島の豪族たちが、帰国後に寺院造営をおこなった話は『日本霊異記』に見える。とりわけ有名なの が、備後国三谷郡(広島県)の大領が百済僧である禅師弘済を伴って帰国し、三谷寺を建てた話であり、その舞台と考えられている三谷寺の軒丸瓦や塼積基壇がその証拠になると考えられる。同様の事例はさらに各地にあったと思われるが、文献に よって判明する事例では、但馬国朝来郡(兵庫県)の神直が対新羅戦争に従軍したことが記されていることに対し、地元の法興寺廃寺でやはり韓半島の特色をもつ軒丸瓦が出土していることがとりあげられる。これらの事例は決して特殊な例ではなく、文献に表れない同様の事例は多く存在したと考えられる。というのも、7世紀後葉は日本列島での寺院造営が急速に進む時期であり、新たな技術者の増大が見込まれるからであり、中央の大寺とは異なる瓦を創建時に用いる寺院の多くは、このような新たに渡来した僧侶や技術者を受け入れていたと想定できる。以上から、百済滅亡による新たな渡来人の活動が、中央の政府以外にもみとめられ、日本列島の文明化に大きな役割を果たしたと評価できる。

목차
1. 百済戦役と7世紀後半の日本列島
 2. 近江国蒲生郡神崎郡の百済遺民
 3. 近江の百済遺民と仏教寺院
 4. 湖東式瓦と渡来系氏族
 5. 百済戦役の帰国者と寺院造営
 6. まとめ
 1. 백제 전쟁과 7세기 후반의 일본 열도
 2. 近江國 蒲生郡・神崎郡의 백제 유민
 3. 近江의 백제 유민과 불교사원
 4. 湖東式 기와와 渡来系氏族
 5. 백제 전쟁의 귀국자와 사원 조영
 6. 맺음말
저자
  • 菱田哲郎(京都府立大学 敎授) | 히시다 테츠오